ETC
[WSL2] WSL Ubuntu에 실행한 Web이 host OS에서 localhost로 접속이 안되는 현상을 해결하는 무식한 방법
ddochea
2021. 4. 25. 15:28
반응형
보다 간단한 방법을 https://ddochea.tistory.com/153 에 작성했습니다. 해당 방법을 먼저 시도해보시고, 안될경우 본 포스트 방법을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.
WSL에 React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웹 접속을 테스트해보았다. 그런데 기본 접속 정보인 http://localhost:3000 로 접근이 되지 않았다. IP를 입력해서 접근할 순 있겠지만, 이렇게 되면 "Debugger for Chrome"을 통한 React 프로젝트 디버깅을 수행할 수 없다.
해결법을 찾았으나, 상당히 무식한 방법이었다.
만약 다른 네트워크 설정이 포함되어있다면 시도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.
1. 설정 이동
Windows 검색창에서 설정(Settings)를 찾아 연다.
2. 네트워크 및 인터넷(Network & Internet) 선택
설정화면에서 "네트워크 및 인터넷" 항목을 선택한다.
3. 네트워크 초기화(Network Reset)
네트워크 초기화를 선택한다.
지금 다시 설정을 누르면, 초기화 여부를 묻는 창이 한 번더 표시된다. 예를 누른 후 PC를 재실행한다.
4. 재실행된 환경에서 확인
PC가 재실행되면 VSCode를 다시 연 뒤, npm start 명령어 및 "Debugger for Chrome" 정상동작여부를 확인한다.
반응형